Network icon by Icons8
■ OSI 7 Layer이란?
- OSI 7 Layer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개의 단계로 나눈 것이다.
■ OSI Layer가 7계층인 이유?
- 데이터의 흐름이 한눈에 보인다. 쉽게 말해서 어떻게 데이터가 날아가는지 보기 쉽다.
- 문제를 해결하기가 편하다.
- 여러 회사 장비를 써도 네트워크가 이상 없이 돌아간다.
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어보자.
자신의 PC가 전자메일이 안 된다면 어떻게 할까?
네트워크를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이면 도스모드로 가서 ping을 쏴본다.
즉 인터넷이 끊어졌는지를 확인해 본다.
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핑을 쏴봄으로써 네트워크 계층에 문제가 있는 지 확인 해보는거다.
만약에 핑을 쐈는데 문제가 없으면 네트워크 계층까지는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.
따라서 물리, 네트워크, 전송계층까지는 문제가 없고 그 상위 계층부터 문제를 확인하면 된다.
■ OSI 7 Layer 구조
![표사진]()
1 Layer : 물리계층(Physical)
- OSI 통신의 맨 아래 단계로 주로 전기적, 기계적, 기능적인 틍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.
- 단지 데이터를 전달할 뿐 데이터가 무엇인지, 에러가 있는지, 어떻게 보내는게 효과적인지에 대해서 관여X
- 통신의 단위는 비트이다. 대표적인 장비는 통신케이블, 리피터, 허브
2 Layer : 데이터링크계층(DataLink)
- Physical Layer를 통하여 송,수신 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 전달을 하도록 도와줌.
- 통신에서의 오류도 찾아주고 재전송도 하는 기능 및 MAC 주소를 가지고 통신할 수 있게 해준다.
- 통신의 단위는 프레임이다. 대표적인 장비에는 브릿지, 스위치
3 Layer : 네트워크계층(Network)
- 가장 많이 다루는 계층이며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기능(라우팅)을 한다.
- 경로를 선택하고, 주소를 정하며, 경로에 따라 패킷을 전달해주는 것
- 통신의 단위는 패킷. 대표적인 장비에는 라우터, Layer 3 스위치
4 Layer : 전송계층(Transport)
- 주로 플로 컨트롤과 에러복구 기능을 수행한다.
- 에러 복구를 위해 패킷을 재전송하거나 플로를 조절해서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.
5 Layer : 세션계층(Session)
- 데이터가 통신을 하기 위한 논리적인 연결을 한다.
- 세션 설정, 유지, 종료, 전송 중단 시 복구 기능등이 있다.
6 Layer : 표현계층(Presentation)
- 데이터 표현이 상이한 응용 프로세스의 독립성을 제공하고 암호화를 한다.
- 코드 간의 번역을 담당하여 사용자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형식상 차이를 다루는 부담을 응용계층으로부터 덜어준다.
- 인코딩, 암호화등의 작업이 수행된다.
7 Layer : 응용계층(Application Layer)
-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일반적은 응용 서비스를 수행한다
- 최종 목적지로서 HTTP, FTP, SMTP, POP3, IMAP, Telnet 등과 같은 프로토콜이 있다.